CI\CD(26)
-
Github Actions - workflow dispatch
workflow dispatch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worflow를 실행할 수 있는 수동 실행 트리거이다.추후에 확인하겠지만 레포지토리의 Action탭에서 Run workflow라는 버튼이 생겨 직접 실행하거나 API나 CLI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보통 즉시 수동으로 배포 혹은 롤백 해야하거나, 핫픽스 , 임시 스크립트 실행, schedule 지연시 수동 보정등의 작업을 위해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레포지토리에 write 이상의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의 사용자만 실행이 가능하고 조직 정책 및 규칙에 따라서 추가로 승인을 해줘야 할 수 도 있다. 또한 실행 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job에서 활용하는게 가능하다.입력값은 문자열로 들어가며 github.event.inputs.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또한..
2025.09.29 -
Github Actions - schedule
schedule event의 경우는 POSIX cron 문법으로 특정 시간/주기에 워크플로우를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는 이벤트이다.schedule의 등록은 와 같이 on의 하위로 schedule로 이벤트를 걸고 여기에 - cron으로 시간을 지정한다.각 시간은 와 같이 자리마다 분, 시간, 날짜, 월, 주 같은 기준이 들어가며 *이 들어가면 매 분, 매 시간 등등에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이는 이렇게 각각의 operator에 대해서 작성되어 있는 기준에 따른다. 그리고 schedule 이벤트의 경우는 default branch에 workflow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workflow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 스케쥴에 대한 잡은 씹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 같다.Github action의 schedule은 ..
2025.09.29 -
Github Actions - Issues Comment
이슈와 Pull Request 모두 Comment를 추가할 수 있는데 둘다 모두 이슈형 리소스이기 때문에 두 곳에서 달린 일반 댓글들이 모두 issue_comment이벤트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issue_comment의 경우는 아래 세개 Activity types에 대해서 트리거 되고 issue와 동일하게 default branch에 workflow가 있을 경우에만 workflow가 실행된다. 이 issue_comment의 경우는 사용방법이 조금 다른데 먼저 기본적으로 name과 이벤트를 등록해보자면여기 까지는 그냥 아는 것과 같이 작성을 해도 무방하다 이제 jobs 부분이 조금 다른데 말했다 싶이 pull request의 comment인지 issue에 대한 comment인지를 분기처리를 해줘야만 각..
2025.09.29 -
Github Actions - Issues
1. Issues eventissue이벤트는 레포지토리의 이슈(버그, 요청, 작업 카드)라는 객체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사건(액티비티 타입)을 트리거로 워크 플로우를 실행해주는 이벤트이다.이슈의 생성, 닫힘, 라벨, 담당자의 변경 등 메타데이터의 변화가 생기면 동작하게 한다.보면 명시적으로 Activity type을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액티비티 타입에서 트리거가 된다고 작성되어 있는걸 알 수 있다. 그래서 이번엔 이슈가 등록될때만 실행 될수 있도록 opened만 설정해서 등록해보도록 하자 현재 Github에서는 issues창이 보이질 않는데 Settings로 들어가서 Feature의 Issues를 체크해주면이렇게체크 표시가 뜨면서 Issues가 활성화 된다. 상단 메뉴를 보면이렇게 Issues가 활성화..
2025.09.29 -
Github Actions - Pull Request
이번에는 Pull Request가 발생했을때 실행될 workflow를 만들어보자. 먼저 .github/workflows에 yaml파일을 하나 생성해주고가장 먼저 이름을 지정해주고pull request 이벤트에 트리거 될 수 있도록 on으로 이벤트를 지정해주자그리고 jobs 부분은 기존에 push를 할때 썼던 workflow를 명칭만 조금 바꿔서 사용하도록 해주자. 이제 pull request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브랜치를 하나 추가로 생성해주도록 하자.브랜치를 생성했으면 로컬에서 오리진의 브랜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fetch를 해주고git branch 명령어로 인식이 됨을 확인했으면 checkout을 해주자checkout된 상태에서 소스에서 yaml파일을 조금 수정해주고git에 다시 커밋과 푸시를 해준 후..
2025.09.27 -
Github Actions - Push
push라는 이벤트가 발생했을때(리포지토리에 커밋이 푸시될때) 자동으로 워크플로우가 실행되도록 하는 워크플로우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먼저 깃허브에서 프로그램을 하나 클론을 받아주고(해당 프로젝트는 당장은 사실 아무거나 상관 없어 보임) 이제 해당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 code로 열고 .github/workflows/push.yaml 파일을 하나 생성해주자. 이제 이안에 워크플로우를 작성해줄 건데 가장 먼저 이 워크플로우의 이름을 넣어주자이 파일 내부는 key:value의 형태로 들어가며 워크플로우의 이름은 name이라는 key로 넣어주면 된다. 그리고 이제 이 워크플로우가 시작될 이벤트, 트리거에 대해 작성할 것인데 이벤트는 on이라는 키로 하여 값을 작성한다. 이제 실제 push라는 이벤..
2025.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