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26)
-
Github Actions(CI/CD 구축) - Spring Boot로 만든 개인 프로젝트의 CI/CD
Spring Boot로 만든 개인 프로젝트에서의 CI/CD의 구축이번에 해보고자 하는 CI/CD의 흐름은 먼저 로컬에서 코드를 작성한 후에 그 내용을 Github에 Push하게 된다.그러면 Github Actions가 이벤트를 확인해서 workflow를 실행해서 러너의 내부에서 AWS의 EC2로 원격 접속을 한 후에 Git을 통해서 Pull을 해서 해당 소스를 AWS의 EC2로 통합한다. 이러면 전체 프로그램 자체를 다 교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금 Push한 내용에 대해서만 교체하기 때문에 속도와 비용 면에서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빌드작업 자체는 EC2자체에서 직접 진행하는데 빌드가 컴퓨터의 성능을 많이 먹는 작업이기 때문에 운영하고 있는 서버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또한 Github 계정의..
2025.10.03 -
CI/CD
CI/CD란 CI/CD란 Continuous Integration/ Continuous Deployment(Continuous Delivery)로 한국어로 하자면 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배포로 소스의 변경을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지속적인 통합)를 하고, 검증된 결과를 가지고 자동으로 배포(지속적인 배포)를 하는 프로세스 혹은 도구 및 체계이다. CI/CD가 발생한 이유CI/CD 없이 수동 빌드 및 배포를 하게 되면 그 때 마다 개발하는 PC와 운영하는 서버 사이의 환경적인 차이로 인해 혹은 사람의 실수로 인해, 테스트를 하지 않아 문제가 생기는 일들이 많고 그럴 때마다 이 소스를 롤백하는게 쉽지 않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커밋 마다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하고 배포까지 자동화해서 오류를 빠..
2025.10.03 -
CI/CD - EC2에 서버 배포
Express Server EC2에 배포하기먼저 EC2 인스턴스로 접속을 하고 sudo su로 root 계정으로 변경해주자.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Node.js를 설치하도록 하자$ sudo su$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ca-certificates curl gnupg && /mkdir -p /etc/apt/keyrings &&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gpgkey/nodesource-repo.gpg.key | sudo gpg --dearmor -o /etc/apt/keyrings/nodesource.gpg && /NODE_MAJOR=20 && /echo "deb [signed-by=/etc/apt/keyring..
2025.10.03 -
CI/CD - CI/CD를 위한 AWS
AWS의 EC2란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 AWS에서 가상 서버(인스턴스)를 필요할 때 바로 만들고, 크기와 수량을 탄력적으로(Elastic) 늘이고 줄일 수 있게 해주는 IaaS서비스이다. IaaS란IasS는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약자로 클라우드에서 가상화된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필요한 만큼 빌려 쓰는 서비스 모델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직접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 없이 Console이나 API로 인프라를 만들고 지우면서 운영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EC2에는 뭐든 올릴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보통 백엔드, 배치, 소켓/미디어 서버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올리고 데이터 베이스나 정적프론트의 경우는 관리형 서비스로 분리..
2025.10.03 -
Github Actions - Cache
Cache캐시는 워크플로우 실행마다 다시 받아오거나 빌드해야하는 무거운 파일들을 저장해뒀다가 다음 실행 때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소 같은 개념으로 프로젝트 내부의 node_modules나 pip, Gradle/Maven같은 라이브러리나 빌드 산출물과 같이 재사용 가능한 중간 결과들을 캐시해서 재사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cache해서 사용하면 의존성의 설치, 컴파일 속도를 크게 줄여주고 러너의 사용 시간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 레지스트리 지연 시에도 캐시로 빠르게 실행이 가능하다. 더보기여기서 나는 조금 혼동이 생겼다. 기존에는 로컬에서 서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모두 설치하고 소스코드와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형태로 빌드하여 그 산출물을 통해서 서버를 실행했었는데 github acti..
2025.10.01 -
Github Actions - Timeout
Timeout특정 시간 이상 실행되면 job / step을 자동으로 중단시키는 안전장치로 아무 설정이 없으면 360분(6시간)에 워크플로우(정확하게는 job이)가 강제로 종료된다.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무한대기/행(hang) 방지 :외부 서비스 지연, 네트워크 이슈, 데드락 등으로 run이 무한으로 돌아가는 상황을 차단한다비용 / 러너 자원 보호 : 불필요한 시간소요와 러너 점유로 큐가 막히는 문제를 예방한다피드백 가속 : 빨리 실패하게하여 문제를 조기에 감지 및 리턴한다.이 타임 아웃은 Job 단위로 사용하는데 필요시에는 Step 단위로 상세하게 적용하기도 한다. Job 단위 Timeout먼저 job 단위로 timeout을 거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파일을 하나 생성해주고name을 생성해주고 ..
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