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2)
-
Ch 03. 입출력 - 01. printf
printf는 c++이 아닌 c언어의 출력 방식이다.이 printf에서 사용되는 형식 문자열이 여기저기서 많이 사용되고 알아두면 유용하기 때문에 조금 알아보고자 한다. 1. printfprintf의 첫번째 전달인자로 Format string(형식 문자열)이 사용된다.최종 문자열의 형태는 Format specifier의 부분이 확정이 되어야 결정이 된다. 여기서 Format specifier란 형식 지정자로 %d, %o등 특수한 형태로 해당 서식의 형태를 결정해주는 요소이다. printf에서 f는 이 형식 문자열을 사용하기에 붙은 것이다. 1-1. 사용해보기C언어에서 printf는 stdio.h에 포함되어 있다.그리고 이걸 include 할때 #include 와 같이 헤더파일을 include 해준다. 그러..
2025.03.24 -
Ch 02. 데이터 - 06 불리언형
자료 표현형은 bool 기본적으로 1바이트임 사용은 bool b0 = 0 == 0; bool b1 = 0 bool b2 = 0 > 1; 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출력해보면 1 1 0 로 출력될 것이다. true/false로 출력하려면 cout에는 플래그를 세팅해줄 수 있는데 bool 타입을 그냥 정수가 아니라 bool 타입으로 보여주기 위해선 ios_base에 있는 boolalpha 정적 상수를 사용해주면 된다 사용할때에는 std::ios_base::boolalpha를 setf안에 넣어서 사용해주면 된다.#include int main(){ bool b0 = 0 == 0; bool b1 = 0 1; // 그냥 정수로 출력되는 경우 std::cout 사실 이 친구들은 if 문 안에서 사용..
2025.03.24 -
로그인, 인증 기능 구축 프로젝트[미니 프로젝트 1] - 01. jwt를 이용한 인증 앱 생성하기 : 07. RefreshToken으로 accessToken 생성하기
이전에 만들었던 refreshToken을 사용해서 만료된 accessToken을 다시 생성해주도록 하자 1. Cookie에 담긴 refreshToken받아오기기존에 accessToken의 경우는 요청에 담는 과정이 필요했었는데 쿠키의 경우는 따로 요청에 추가해주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가져가게 되어 있다. 이 쿠키를 확인하는 메서드를 서버에 추가해서 확인해보면url은 '/token'으로 설정해주고 쿠키의 값은 요청, req안에 cookies라는 속성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콘솔로 이 값을 출력해보면값을 찾아오지 못한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에 req에 응답을 받아올 때를 확인해보면 이 부분이 필요한 이유와 동일하다. 더보기req.cookies로 바로 값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기본적으로 HTTP 요청..
2025.03.22 -
C++ - 문자형 데이터(char)
C++의 char형 데이터C++에서 char 타입은 문자(character)를 저장하는 기본적인 자료형으로 char는 1바이트(8비트) 크기의 정수형으로, ASCII 코드 값(0~255)을 저장할 수 있다. 1. char는 문자 하나를 저장하는 정수형 타입 메인 함수 내부에서 char 변수에 'A'라는 문자를 저장하고 이를 아스키 코드로 뽑아보면이렇게 숫자 값이 나온다.이는 내부적으로 char가 정수(ASCII 코드 값)를 저장하기에 (int)ch로 변환하면 65가 출력되는 것이다.즉, 'A' 같은 문자는 문자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정수 65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동일하게 char형 변수에 숫자를 넣어주면이렇게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har ch ..
2025.02.17 -
부동 소수점
부동 소수점은 C혹은 C++을 배우면서 지속적으로 괴롭히던 개념이다.배울땐 이해가 되어도 머리에 남지 않는 지식 중에 하나로 여기 저기 언어를 배울 때 마다 이 개념에 대해 새로 배우는데 시간을 낭비하는게 아까워 머리에 넣어두기 위해서 정리해두기로 한다. 부동소수점이란?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은 소수점이 움직이는(Floating) 방식으로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정수(Integer) 연산을 수행하지만, 실수(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저장하고 계산할 필요가 있다. 부동소수점 표준(IEEE 754)은 실수를 컴퓨터가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연산할 수 있도록 만든 규칙이다. 부동소수점이 필요한 이유1. 정수형(int)만으로 실수를 표현할 수 없음정수형(int)은 소수점이 없는 ..
2025.02.16 -
음의 정수 - 2의 보수법
C언어 C++을 공부하다 보면 정수를 이야기할 때 항상 2의 보수법을 공부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매번 배울 때마다 정리할 수 도 없고 나도 기억에 두고 싶어 따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2의 보수법(Two's Complement)이란?2의 보수법은 컴퓨터에서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양수와 음수를 동일한 방식으로 덧셈과 뺄셈 연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이진수 표현 방식이다. 1-1. 2의 보수법은 왜 사용해야할까? 1-1-1. 부호-크기(Sign-Magnitude)방식 초창기 컴퓨터에서는 부호-크기(Sign-Magnitude)방식을 사용했었다부호-크기방식은 가장 왼쪽의 비트인, MSB(Most Significant Bit, 최상위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여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나타내고 나머지..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