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152)
-
튜플
파이썬에서 튜플(Tuple)은 여러 개의 값을 하나로 묶어서 저장하는 자료형으로 리스트와 비슷하나 생성 후 값의 변경(수정, 추가, 제거)를 할 수 없다는 점이 다르다.한마디로 불변(immutable)한 자료형이다. 튜플의 생성과 사용튜플은 ()소괄호를 사용해서 만든다.t1 = (1, 2, 3)t2 = ('a', 'b', 'c') 이렇게 생성된 튜플은 리스트처럼 여러 타입의 값을 한번에 저장할 수 있다.t3 = (1, 'a', 3.14, True) 또한 튜플을 생성할때 하나의 요소만 가지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정수의 형태로 인식한다t = (1)print(type(t)) # 그렇기에 요소하나만 가지는 경우엔 뒤에 쉼표를 넣어줘야만 튜플로써 인식한다t = (1,)print(type(t)) # 튜플은 인덱싱..
2025.07.08 -
딕셔너리
파이썬에서 딕셔너리(Dictionary)는 키(key)와 값(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형으로 자바의 Map, C++의 std::map, JS의 Object와 비슷하게 사용된다 . 딕셔너리의 생성 및 사용딕셔너리를 생성할때는 중괄호를 사용하고 내부에 값을 key:value 쌍으로 저장한다.person = {'name': '홍길동', 'age': 25, 'job': 'developer'}empty_dict = {} 키와 값을 추가하거나 값을 수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추가하는 키 값으로 값을 초기화하거나 기존 키에 값을 넣으면 된다.person['city'] = 'Seoul' # 추가person['age'] = 26 # 수정 값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
2025.07.08 -
리스트
파이썬에서 리스트(List)는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 자바의 ArrayList, C++의 vector와 비슷하며,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한 리스트에 넣을 수 있는 자료형이다. 리스트의 문법리스트를 생성할때는 다른 언어들보다 간단하다numbers = [1, 2, 3, 4]fruits = ["apple", "banana", "cherry"]mixed = [1, "apple", 3.14, True]empty = []타입을 따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되기에 그냥 있는대로 중괄호 내부에 넣어주면 된다.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음수 인덱스도 지원 한다 .print(numbers[0]) # 1print(fruits[-1]) # "cherry"음수 인덱스의 경우는 뒤에서 부..
2025.07.08 -
C# - 클래스(1)
C#에서 클래스(Class) 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핵심 개념으로 데이터(필드) 와 동작(메서드) 을 하나로 묶어 표현하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이다.용도적으로 설명하자면 클래스는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코드로 표현해 놓은 설계도 라고 할 수 있다. 이중 기존에 닷넷에서 이미 만들어서 제공되는 클래스인 Console, Math, String 과 같은 클래스를 내장 자료형이라고 하고 우리가 직접 Class 로 만들었던 Program과 같은 클래스를 사용자 정의 자료형이라고 한다. 클래스는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코드로 구현해둔 설계도로 이 클래스를 사용해서 객체를 만들어 낸다. 클래스의 선언클래스를 구성하는 요소는 데이터와 동작으로 각각 멤버 필드와 메서드로 구현이 된다.기본적인 형태의 클래스의 구성..
2025.06.21 -
C# - 열거형
열거형(enum)은 상수들의 집합을 정의하는데 사용되고 각 항목은 숫자값으로 자동으로 매핑된다.이는 숫자에 명확한 이름을 붙여서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열거형의 정의열거형은 enum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해서 정의를 한다.enum 열거형명{ 멤버1, 멤버2, ... 멤버n} 이렇게 만든 열거형은 내부에 선언한 멤버의 순서대로 0부터 값이 할당된다.열거형.멤버1 => 0열거형.멤버2 => 1열거형.멤버3 => 2 ...열거형.멤버n => n-1 열거형을 정의할때는 직접 값을 정해줄 수 도 있고 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enum 열거형명{ 멤버1 = 1, 멤버2 = 10, 멤버3 = 30}만약 멤버의 값을 아래와 같이 중간에만 지정하는 경우는..
2025.06.21 -
C# - 구조체2
내장 구조체닷넷 프레임 워크에서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내장 구조체에 대해서 한번 확인해보자. 1. DateTime 구조체System.DateTime 구조체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표현하고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내장 값 타입으로 연, 월, 일, 시, 분, 초, 밀리초 등의 시간 단위 처리 및 비교, 계산, 포멧팅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1) DateTime.Now현재 컴퓨터의 시간(로컬 시간)을 가져온다. 2) new DateTime()new 키워드를 통해서 DateTime 구조체를 만들면 원하는 시간을 지정해서 만들 수 있게 된다.기본적으로 아무런 지정 없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소괄호 내부에 숫자를 순서대로 (연도, 월, 일, 시간, 분, 초) 순서로 넣어주면 해당 ..
2025.06.21